“잘하는 것은 다만 글자를 다루는 작은 재주뿐”
[弓詩] 조선 선비, 활쏘기를 노래하다…①철총마 타고
2024-02-08 한정곤 기자
조선시대 선비들에게 활쏘기는 곧 인문학이었다. 사냥 도구나 전쟁 무기라는 활의 본래 기능과 심신단련이라는 목적지향적 접근보다 인간의 내면과 문화를 엿보려 했다. 그리고 이를 언어화하면서 인간의 가치와 사상을 예술작품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필자는 조선 선비들이 언어화한 활쏘기를 ‘궁시(弓詩)’라고 부른다. 근래 들어 활쏘기는 과녁 맞추기[시수(矢數)]에 연연해 하는 스포츠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활쏘기가 여느 스포츠와 구별되는 가장 차별화되는 지점이 바로 조선 선비들에게서 찾을 수 있는 인문학적 접근, 즉 궁시(弓詩)다. 활쏘기 외에 어떤 스포츠에서 시(詩)와 같이 언어로 표현된 예술작품을 찾을 수 있겠는가. 『헤드라인뉴스』는 조선 선비들이 직간접적으로 활쏘기를 노래한 궁시(弓詩)를 연재한다. <편집자 주> |
철총마(鐵聰馬) 타고 보라매 받고
백우장전(白羽長箭) 천근각궁(千斤角弓) 허리에 차고
산 너머 구름 밖에 꿩 사냥하는 저 한가한 사람
우리도 성은(聖恩)을 갚은 후에 너를 좇아 놀리라.
산에 눈이 하얗게 쌓였을 때 검은 초피 갖옷을 입고 허리에는 흰 깃이 달린 긴 화살을 차고 팔뚝에는 백 근짜리 센 활을 걸고 철총마를 타고서 채찍을 휘두르며 골짜기로 들어가면 긴 바람이 골짜기에서 일어나 초목이 진동한다. 갑자기 큰 멧돼지가 놀라서 길을 헤매고 달릴 때 곧 화살을 꺼내 활을 힘껏 당겨 쏘아 죽이고, 말에서 내려 칼을 빼내어 이놈을 잡아서 고목을 베어 불을 놓고 기다란 꼬챙이에다가 그 고기를 꿰어서 구우면 기름과 피가 끓으면서 뚝뚝 떨어진다. 걸상에 앉아 고기를 저며 먹으면서 큰 은대접에 술을 가득히 부어 마시고 얼큰히 취할 때에 고개 들어 올려다보면 골짜기의 구름이 눈이 되어 취한 얼굴 위로 조각조각 솜처럼 나부낀다. 이런 맛을 자네가 아는가. 자네가 잘하는 것은 다만 글자를 다루는 작은 재주뿐이네.
大雪滿山 被黑貂裘 腰帶白羽長箭 臂掛百斤角弓 乘鐵驄馬 揮鞭馳入澗壑 則長風生谷 萬木震動 忽有大豕驚起 迷路而走 輒拔矢引滿射殪 下馬拔劍屠之 仍斫老櫟焚之 長串貫其肉煮之 膏血點滴 踞胡床 切而啗之 以大銀椀滿酌快飮 飮至醺然 仰看壑雲成雪 片片如綿 飄泊醉面 此中之味 君豈知之 君之所能者 只是翰墨小技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