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2곳 사외이사 ‘억대 급여’…전자업종 8100만원 최고
CXO연구소, 2023년 국내 300대 기업 사외이사·상근 감사 보수 분석
국내 주요 300대 기업에 활동하는 사외이사의 작년 한 해 평균 급여는 2년 전보다 300만원 정도 증가한 5700만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또 300개 기업 중 작년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1억원이 넘는 회사는 12곳으로 여기에 포함되는 사외이사만 60명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지난해 사외이사로 활동하며 받은 보수액이 2억원을 넘은 인원도 1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23년 사외이사·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300대 기업은 15개 주요 업종별 매출(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 상위 20개 기업씩 총 300개 상장사다. 조사는 금융감독원에 제출된 각 기업의 2019년부터 2년 단위(2021년·2023년)로 각 해당 연도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사외이사 보수 현황을 참고해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국내 300대 기업에서 활동한 사외이사 인원은 103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987명, 2021년 981명보다 많아진 숫자다.
보수 금액만 놓고 보면 사외이사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한 그룹은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이고 다른 그룹은 감사위원을 따로 맡지 않는 사외이사군이다. 공시 서식 규칙에 사외이사 등이 포함된 감사위원회의 보수는 별도 기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년 기준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675명으로 전체 사외이사의 65.5%를 차지했다. 지난 2019년(61.1%), 2021년(65.2%) 때보다는 다소 높아진 수치다.
300대 기업 1000명이 넘는 사외이사에게 지급한 지난해 연간 보수 총액은 590억9400만원 수준이었다. 사외이사 한 명에게 지급한 산술적인 연간 평균 급여는 5737만원 정도였다. 이는 지난 2019년 4880만원과 비교하면 17.6% 오른 금액이고 2021년 5410만원 수준과 견주면 6% 상승했다. 사외이사 보수도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셈이다.
이중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 그룹의 작년 1인당 평균 보수는 6059만원으로 비감사위원 사외이사 그룹군 평균 5126만원보다 933만원 높았다. 지난 2021년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5633만원, 비감사위원 사외이사는 5094만원 수준이었다.
같은 대기업 사외이사 타이틀을 갖고 있더라도 기업별 급여 수준은 극과 극을 달렸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0명이 넘는 사외이사 중 억대 이상 보수를 받은 인원 비율은 6.4% 수준을 보였다. 반면 연간 보수액이 2000만원 미만인 비율은 7% 정도 차지했다.
특히 2019년만 해도 300대 기업 중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1억원을 넘긴 곳은 단 3곳에 불과했다. 여기에 포함됐던 사외이사 인원도 16명에 그쳤다. 2년이 흐른 지난 2021년에는 10곳으로 증가했고 사외이사 인원은 55명으로 늘었다. 그러다 작년에는 300곳 중 12곳이 평균 사외이사 급여가 1억원을 상회했고, 여기에 포함된 인원만 6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작년 사외이사 급여 억대 클럽에 가입한 12곳 중 6곳은 SK그룹 계열사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300대 기업의 사외이사 급여를 1000만원 단위로 살펴보면 9000만원대(9000만~1억원 미만) 5.2%(2021년 4.8%), 8000만원대 10.4%(11%), 7000만원대 10.4%(10.5%), 6000만원대 8.9%(9.4%) 5000만원대 11.7%(10%), 4000만원대 13.6%(12.5%)로 파악됐다. 3000만원대는 16.5%(16.5%)로 202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가장 많이 차지했다. 이외 2000만원대는 10.1%(13%)이었고 1000만원대 이하는 7%(6.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위원과 일반 사외이사의 평균 보수가 가장 높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조사됐다. 사업보고서 기준 지난 한 해 총 6명의 사외이사에게 12억원이 넘는 보수를 지급했다. 산술적인 1인당 평균 급여액은 2억300만원으로 국내 대기업 중에서는 처음으로 사외이사 보수 2억원대 시대를 열었다.
이어 SK텔레콤(1억6360만원), SK이노베이션(1억6120만원), SK하이닉스(1억5510만원), 삼성물산(1억4620만원), 포스코홀딩스(1억1630만원), 현대자동차(1억1460만원), 네이버(1억1130만원), SK가스(1억580만원), LG전자(1억430만원), SK네트웍스(1억360만원), SKC(1억300만원) 등도 지난해 사외이사 보수 1억 클럽에 가입했다.
사외이사를 세분화해 감사위원을 겸하지 않는 사외이사의 평균 보수만 따로 떼어놓고 살펴보면 삼성물산이 최고 수준을 보였다. 지난해 2명의 사외이사에게 4억7600만원 정도를 보수로 지급해 1인당 평균 급여액이 2억3800만원으로 국내 기업 중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삼성전자 비감사위원 사외이사 3명도 1인당 평균 보수가 2억700만원으로 2억원을 훌쩍 넘겼다.
주요 업종별 사외이사 1인당 평균 보수는 전자업종 사외이사 62명이 한 명당 평균 8197만원을 받아 비교적 높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에도 평균 7452만원으로 조사 대상 업종 중에서는 사외이사 급여 수준이 최상급이었다. 이어 유통상사 7905만원, 석유화학 7370만원, 정보통신 6990만원, 금융 6948만원, 철강 6104만원, 자동차 5549만원 순으로 지난해에만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5000만원을 넘었다.
반면 패션 업종은 2952만원으로 조사 대상 주요 업종 중 평균 급여액이 가장 낮았다. 지난 2019년(3029만원)과 2021년(3070만원)보다 더 낮았다. 고무·플라스틱 업종도 지난해 평균 3712만원으로 사외이사 보수가 3000만원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3717만원)과 2021년(3934만원)에도 3000만원대에 머물렀다.
이외에 지난해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4000만원대인 업종군에는 운수 4858만원, 식품 4700만원, 건설 4686만원, 기계 4590만원, 광물 4335만원 등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업체 중 지난해 상근 감사 보수가 억대를 상회하는 곳은 27곳으로 조사됐다. 2021년 35곳보다 8곳 줄었다. 300개 대기업 중 상근 감사 연간 보수가 가장 높았던 곳은 운송 관련 업체인 동방으로 조사됐다.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2명의 감사에게 1인당 평균 4억300만원 상당의 급여를 지급해 조사 대상 업체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포스코스틸리온(3억7300만원), 기업은행(2억9800만원), 대원강업(2억4600만원), 해태제과식품(2억2200만원), 동부건설(2억600만원) 등이 상근 감사 평균 급여 2억원을 상회했다. 이어 대덕(1억9700만원), 심텍(1억8900만원), 신화인터텍(1억7600만원), 동원F&B(1억7400만원) 등은 지난해 상근 감사 보수 상위 톱10에 포함됐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연구소장은 “사외이사에게 지급하는 급여는 기업 규모와 업종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매출 외형이 큰 대기업일수록 유명 인사들을 사외이사로 적극적으로 영입하다 보니 이들에게 지급하는 급여도 점점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