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편찬원, 한양의 길 소개 『서울역사답사기』 제7권 발간
상태바
서울역사편찬원, 한양의 길 소개 『서울역사답사기』 제7권 발간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3.08.16 12: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화문광장을 지나 빌딩 사이로 분주하게 오가는 사람들의 걸음이 이어진다. 우리가 도심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하지만 도심을 자세히 차분하게 살펴보면 무심코 지나쳤던 길 모퉁이에서 ‘〇〇〇 터’라는 이름의 표석을 찾아볼 수 있다. 이름만 남기고 사라졌지만 존재했음을 알리는 역사의 흔적들이다. 서울역사편찬원은 16일 발간한 『서울역사답사기』 제7권 ‘한양의 길을 걷다’에서 조선시대 한양 사람들의 길을 소개한다. 조선은 수도 한양을 건설하며 종묘·사직·조정·시전과 도로를 구상했다. 도성 건설의 원리를 담고 있는 『주례』 「고공기」에는 ‘왼쪽에 종묘, 오른쪽에 사직을 두며 조정을 앞에 두고 뒤에는 시장을 둔다(左廟右社 前朝後市)’고 나와 있다. 한양은 이를 참고해 건설됐는데 백악·낙산·인왕산·목멱산(남산) 등 4개의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으로 조정의 남쪽에 시장이 형성됐다. 도로 역시 ‘남북·동서 9개의 길을 둔다’는 원칙과 달리 한양의 길은 자연스러운 ‘정(丁)’자 형태를 이루며 발달했다. 황토현에서 경복궁 앞까지 연결되는 오늘날 세종로나 숭례문에서 대광통교에 이르는 남대문로·돈화문로 등은 조선시대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길이다. 이번 서울역사답사기 제7권은 2022년 역사학자와 시민이 함께한 서울역사답사의 결과물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조선시대 한양에 살았던 백성, 관료, 왕 등 한양 사람들의 삶과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7개의 답사경로를 기획해 소개한다. 첫 번째 길은 시전길이다. 사람들의 일상을 알기 위해 시장만큼 좋은 것이 어디 있겠는가. 한양의 시장길을 걷고 싶다면 오늘날 광화문역 3·4번 출구로 도로가에 작게 남은 ‘혜정교 터’ 표석을 찾으면 된다. 혜정교는 시전을 알리는 시작점으로 흥인지문(동대문)에 이르기까지는 물건을 팔기 위한 가게인 시전행랑이 가득했다. 이 길은 구름처럼 사람이 모였다 흩어진다 해 ‘운종가(雲從街)’로 불렸던 길이다. 원래 조선에서 상업은 나라에서 허가받은 시전만 가능했지만 조선후기 인구와 물자가 모여들어 상업이 발달하게 되며 동대문의 이현시장, 남대문의 칠패시장처럼 대표적인 난전도 생겨났다. 두 번째 길은 순라길이다. 계절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조선시대에는 통금시간이 있었다. 밤 10시경 인경부터 새벽 4시경 파루까지는 엄격히 통행이 금지됐다. 한양에는 범야자(통금을 어기는 사람들)를 단속하고 도둑이나 화재 예방을 위해 ‘순라꾼’들이 순라를 돌았다. 시장길이기도 했던 종로를 따라 걷다보면 광화문우체국 앞의 ‘우포도청 터’, 보신각 건너편 종각역 6번 출구 앞 ‘전옥서 터’, 1번 출구 앞 ‘의금부 터’ 등 도성의 치안을 담당했던 여러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표석 옆에는 천주교 순례길 안내판이 있다. 조선후기 천주교는 사회 질서를 혼란하게 한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박해받았는데 치안을 단속하던 기관이다 보니 종교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순교의 현장이기도 하다. 세 번째 길은 백성을 위하던 영조의 뜻을 품고 있는 ‘위민준천(爲民濬川)길’ 청계천 길이다. 오늘날 청계천은 조선시대 기록에 대개 개천(開川)으로 나온다. 한양도성의 중앙을 흐르던 개천은 중요한 배수로이자 하수시설이 없던 조선시대 오물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개천은 비가 많이 올 때는 범람해 주변 인가에 피해를 입히기도 했다. 영조의 준천은 하천 주변 백성들의 생활을 개선하고 제방 보수, 배수를 위한 수문 정비 등에 목적을 둔 것이다. 또한 준천 사업에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는데 당시 한양에 모여들었던 고군(임금노동자)들의 고용 문제를 완하하는 측면도 있었다. 청계천은 이제는 일상에서 익숙한 시민들의 휴게공간이다. 네 번째 길은 1691년 숙종의 거둥길이다. 1691년 음력 2월26일 숙종은 정릉 참배를 떠났다. 정릉은 태조 이성계의 두 번째 부인인 신덕왕후 강씨의 능으로 능이 조성될 당시 도성 내 취현방에 있었다. 1398년(태조 7년)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정릉 지위에 변화가 생겨 도성 밖 사을한에 정릉을 옮겨졌다가 세종 즉위 이후에는 나라 제사에서 정릉이 빠짐으로써 잊혀진 능이었다. 조선후기 사림정치가 본격화되며 정비(正妃)임에도 종묘에 모셔지지 못한 정릉의 복위에 대한 논의가 일어났으며 숙종의 정릉 참배는 조선후기 왕들 가운데 최초의 사례다. 음력 2월26일의 늦은 아침인 오전 8시30분~9시30분쯤 궁을 나섰다. 숙종은 궁을 떠나 보제원-고암(오늘날 안암)-사하리(오늘날 미아리)-수유리 방향을 지나 정릉에 도착했으며 사하리에 주정소를 마련하고 휴식을 취했다. 정릉 참배 후 사하리 교장을 마련해 군사훈련을 하고 환궁길에는 동관왕묘를 거치며 백성들의 상언도 듣는다. 다섯 번째 길은 어떤 관료의 출근길이다. 전라도 흥덕 출신으로 상경해 관직생활을 한 선비 황윤석이 주인공이다. 1729년생 황윤석은 그의 일기 『이재난고』에 서울살이의 기록을 자세히 남겼다. 과거 준비하며 반촌에 살던 시절부터 38살 장사랑 참봉으로 천거된 이후 의영고 봉사, 종부시 직장, 사포서 별제, 사복시 주부, 동부 도사 등을 거쳤던 내용을 기록했다. 17세기 후반 원래 한양에 살던 사람들에 더해 경강상인, 5군영에 속한 군인들까지 한양에 집 한 칸 얻기가 어려웠다. 집을 구하려면 소개를 위한 인맥이 필요했으며 음식값, 세탁비용 등등의 생활비까지 내고 나면 여유있는 생활이 어려웠다. 또한 까다로운 반주인(집주인)을 만나기도 해서 집을 여러 차례 옮기기도 했다. 상경해 관직생활을 했던 황윤석도 마찬가지였다. 황윤석은 지방 수령으로 갈 수 있는 6품관이 되길 고대했다. 『이재난고』에는 동부 도사에 임명되던 당시 심정과 출근길에 대한 내용도 있어 흥미롭다. 동부 도사는 한성의 5부(동·서·남·북·중) 가운데 동부를 다스리던 자리였다. 그가 바라던 동부 도사에 임명됐다는 소식을 듣고 이전에 모시던 하인들과 지인들이 반촌에 찾아와 인사했다고 한다. 동부에 첫출근하던 날 황윤석은 창덕궁 돈화문으로 궐에 들어가 상서원 대청에서 사은숙배(과거합격 또는 관직 임명시 임금에게 절하는 것)했다. 사은숙배를 마치고 궐 밖에 나와 종묘 앞 피맛길 이현병문(李峴屛門)을 넘어 동대문 방향의 큰 길을 따라 동부관아(오늘날 종로4거리 호텔 아트리움 주변)에 도착했다. 『이재난고』의 기록을 따라가다보면 황윤석의 출근길을 따라 서울 곳곳을 답사할 수 있다. 창동 수각교 터부터 전생서 도가(서울시청 앞), 의영고 터, 사복시 터, 종부시 터 등 모르고 지나쳤던 관아 터를 살필 수 있다. 여섯 번째 길은 조선통신사길이다. 조선통신사를 떠올리면 부산을 출항해 에도(오늘날 도쿄)에 이르기까지 먼 길을 떠났던 모습을 대부분 상상할 것이다. 이번 책에서는 조선통신사 사행의 시작점인 서울에서의 이동 경로를 답사기에서 소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통신사들은 궁궐에서 어명을 받고 숭례문을 지나 남관왕묘에서 의관을 갈아입고 여정을 떠날 준비를 했다. 조선통신사들은 한강을 건너 양재역에 이르러 영남대로를 따라 부산까지 갔다. 오늘날은 해외여행이 쉬운 일이지만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긴 여정에 건강이 상하기도 하고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다. 한양을 멀리 벗어나기 전 동료들과 이별의 아쉬움을 나누는 전별연을 벌이기도 했다. 남산 밑의 전생서, 이태원, 한강진의 제천정 등은 이별의 아쉬움과 건강을 바라는 마음을 나누던 대표적인 전별 장소였다. 조선통신사들이 걸었던 길에는 대부분 표석만이 남아 흔적을 되짚어 볼 수 있다. 책에서는 독자들의 상상을 돕기 위해 그림과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주변 풍경을 사진으로 풍성하게 담았다. 일곱 번째는 길은 1795년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떠난 정조의 효행길을 다뤘다. 정조는 1795년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수원에 있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현륭원을 참배한다. 정조가 이전 현륭원 능행을 떠났을 때는 남태령 고개를 넘어갔다. 남태령 방면은 언덕이 이어지기 때문에 궁에서 대부분의 생을 살았던 연세든 어머니가 고단할 것을 정조는 걱정했다. 이 때문에 비교적 평평한 시흥 쪽의 길을 선택하고 5리마다 휴식처인 주정소를 마련해 어머니의 휴식을 계획했다. 1795년 윤2월9일 행렬은 노량진에 설치한 배다리를 건너 시흥행궁-안양참-사근참행궁-지지대-만석거-영화정-수원화성-만년제-현륭원-화성행궁에 이르렀다. 8일간의 긴 일정이었다. 당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지위가 왕비가 아니었음을 생각한다면 조선의 전례없는 행사였다. 능행이라는 효행을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위를 백성들에게 상징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던 정조의 뜻이 반영된 것이다. 정조의 을묘년 능행은 ‘정조대왕 능행차’를 통해 재현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벤트를 통해 행사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있지만 답사기를 따라 융건릉에 이르기까지 답사한다면 더 생생함을 느낄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한 7개의 길들은 광화문 교보문고 앞, 광장시장 골목, 청계천 수표교 앞처럼 도심에서 이미 독자들이 몇 번쯤은 지나쳤을 장소들이다. 답사는 아는 만큼 보이는 시야가 넓어진다. 종로와 청계천 등 도심에 집중해 답사했지만 각기 다른 주제로 살펴볼 수 있게 소개했다. 다양한 시각으로 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로를 답사하더라도 갈 때마다 새로운 역사를 알 수 있게 구성했다. 또한 고지도와 현장사진을 풍성하게 수록하여 실제 가보지 못하는 독자들을 위한 볼거리도 마련했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번 답사기를 통해 “길은 많은 사람들이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오가는 삶의 현장이자 문화가 소통하는 공간으로 매우 의미가 깊다”면서 “이 책이 많은 독자들에게 역사 속 한양의 길을 걷고자 하는 안내서로 자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책은 오는 18일 이후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서울시내 공공도서관이나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에서 전자책으로도 열람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