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산 아래 양지바른 노천 활터…화순 서양정
상태바
서석산 아래 양지바른 노천 활터…화순 서양정
  • 한정곤 기자
  • 승인 2021.10.07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활터 가는 길]⑱ 600여년 역사 화재로 소실…지역축제 애물단지로 전락
화순 남산공원 정상의 서양정 전경. [화순군청 제공]

어렸을 때부터 봐왔던 산이 아니다. 중머리재 위로 천왕봉이 우뚝 솟은 우람한 형세는 온데간데 없고 멀리 고개를 내민 천왕봉 양쪽으로 날개를 펼친 듯 첩첩이 겹쳐지는 산줄기가 긴 꼬리를 늘어뜨린다. 천왕봉 아래 자리 잡은 규봉, 장불재, 서석대 등의 장관은 산줄기에 겹쳐지거나 너무 멀어 육안으로는 다가가지 못한다. 지공대사가 법력으로 수많은 돌을 깔아 만들었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생채기처럼 맨살을 드러낸 너덜겅도 가리었다. 무등산의 3분의 1이 화순군에 걸쳐있다는 설익은 귀동냥만으로 화순 읍내에서 온전한 무등산을 조망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던 것부터가 부질없는 짓이다.

사실 화순에서 무등산을 보려면 이서면으로 가야 한다. 특히 신들이 옥을 깎아 놓은 듯 가장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그래서 이곳을 보지 않고 무등산을 보았다고 말하지 말라고 했던 규봉 역시 이서면에서야 조망이 가능하다. 고려 19대 명종 때의 시인 김극기(1150~1204년경)의 시에서 규봉의 선경(仙境)을 마치 눈앞에서 보는 듯하다.

詭狀苦難名 괴상한 모양 무엇이라 이름하기 어려운데
登臨萬象平 올라와 보니 세상이 눈 아래 있네
石形裁錦出 돌 모양 비단을 잘라 만든 것 같고
峯勢琢圭成 산 형세는 옥을 깎아 이룬 것 같네
勝踐屛塵迹 좋은 곳에 오니 세상 티끌 끊었고
幽서添道情 그윽이 사니 도정이 더하네
何當抛世綱 어찌하여 세상일 다 버리고
趺坐學無生 여기 부좌하여 무생불법을 배울꺼나

규봉에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었던 김덕령 장군이 문바위에서 화순 동면 청궁마을 살바위까지 화살을 쏘고 백마가 먼저 도착하는지를 시험했다가 백마가 늦었다며 백마의 목을 치니 그제서야 화살이 날아와 바위에 꽂혔다는 전설도 전해온다. 광주를 대표하는 번화가인 충장로는 1788년 정조가 사당을 건립하고 배향하며 내린 그의 시호(諡號) 충장공(忠壯公)에서 유래한다.

서양정 사정 전경. [사진=한정곤 기자]

◇ 향사당으로 이어온 활쏘기
광주광역시의 동남쪽 경계를 이루는 너릿재터널를 통과하자 곧바로 화순 읍내로 들어선다. 옛부터 산악과 계곡이 경관을 이루고 갖가지 천어(川魚)의 보고로 명경(明鏡)같이 맑은 강물과 그 유역으로 기름진 전답이 널린 온후순박한 고장이다. 그러나 이상을 펼치다 유배된 조광조와 적벽의 절경에 반한 방랑시인 김삿갓이 죽음을 맞이한 슬픈 역사를 간직한 곳이기도 하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시가지 한가운데에는 아담한 토산인 남산이 봉긋하다. 해발 40여 미터 높이에 불과한 완만한 경사길을 따라 오를 수 있어 지역민들이 자주 찾는 근린공원이다. 특히 매년 10월 중순에서 11월 초 1억 송이가 넘는 국화꽃이 뒤덮인 남산공원 일대에서는 지역축제 국화향연이 개최돼 전국에서 6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려든다. 축제를 앞둔 남산공원 오르막 길가에는 국화 개화를 위해 가로등의 야간조명을 한시적으로 소등한다고 알리는 현수막이 이채롭다. 남산공원 정상에서 서양정(瑞陽亭)을 만난다.

서양정의 역사는 1436년(세종 1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비록 기록물 없이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현존하는 활터로는 1408년(태종 8년) 창건된 고흥 봉황정에 이어 두 번째 오랜 역사다.

지금은 옹벽으로 바뀐 서양정 옛 입구에 세워진 서양정 연혁비에는 창건 이후 향사당(鄕射堂)으로 맥을 이어온 과정이 담겨있다. 군자정(君子亭)으로 한 차례 이름이 바뀌었고 오랜 기간 정자를 갖추지 못했던 노천(露天) 활터로 기록돼 있다.

2009년 4월 사대 공사 이전에 촬영된 서양정 사정.

“본 정은 우리 민족의 전통 무예를 연마하는 이 고장 유일의 심신수련 도장으로 서석산(무등산)의 정기받은 만연산 하록의 양지바른 곳 화순의 고호(古號)를 따 서양정이 창설된 세종 18년(서기 1436년) 이래 유구한 역사를 통해 세파를 겪으면서 만연산 여록인 아후평(衙後坪) 사대를 남산 하의 연지변으로 이전하고 정명(亭名)을 군자정으로 개호해 노천 습사로 면면히 맥을 이어 사이관덕(射以觀德)의 미풍양속을 함양하던 중 서기 1964년 9월 5일 이곳에 가정(假亭)을 건립해 서양정으로 환원했다. 이 고장 국궁발전에 획기적인 계기가 되어 활발한 습사와 연마로 우수 무사의 배출과 군민체위향상에 기여한 바 있지만 규모와 시설을 겸비한 사정의 건립이 요청돼 지방 유지와 사우들의 열의로 뜻을 모아 서기 1974년 3월 1일 본 정 신축을 추진하고 착공해 동년 10월 26일 준공했으며 오늘에 이르러 명실공히 이모(而貌)를 갖춘 도장으로 발전했음을 동경함이로다.”

◇ 점화장 발화 화재로 사정 전소
간략하게 서술한 연혁비의 내용을 보태면 서양정은 당초 만연산 인근 아후평에서 창건됐다. 조선 시대 때는 향사당·향청으로 불리며 향청리 55번지에 있었지만 현재 상광덕마을 광덕1리 화순 관아 뒤 관덕정 자리였던 남산 방죽(현 읍사무소 자리)으로 옮겨 김판옥 씨 집 자리에 사대를 설치하고 건너편 과녁을 향해 활쏘기를 했다.

연방죽이라고도 불렸던 남산 방죽은 여름이면 분홍빛 연꽃이 만발해 이를 보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던 명소로 전해진다. 연못에는 붕어가 많아 큰 느티나무 아래 낚시대를 드리운 강태공들이 즐비했 겨울에는 방죽이 꽁꽁 얼면서 얼음을 지치려는 사람들로 발디딜 틈이 없었다. 당시 연못 가운데에는 작은 동산이 있었고 관풍정이란 정자를 세워 사정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과 화순읍지에 남아있다.

사대 끝 난간에서 바라본 무겁. [사진=한정곤 기자]

1961년에는 삼천리 유우열 씨 집앞 천변으로 옮겨 임시 사장으로 사용했지만 홍수로 유실돼 남산 현 충혼탑 앞에서 노천습사로 활쏘기의 맥을 이었다. 이후 농촌지도소(현 군민회관 자리)를 신축하자 약간 왼쪽으로 옮겨 장남구 씨 밭을 활터로 이용했다.

1964년 5월에는 사정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그해 9월 준공했으며 1974년 결성된 중수추진위원회를 통해 10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재실의 팔작지붕 건물로 준공했다.

그러나 1994년 3월 점화장에서 발화한 화재로 사정이 전소돼 1996년 국비 1억원과 군비가 투입돼 현재의 건물로 복원됐다. 복원된 정자 역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평기와 건물 형태지만 지붕만 전통한옥 양식일 뿐 사실상 콘크리크 건축물이다. 2012년에는 사대 앞을 허물어 현재의 식당 건물까지 신축했다. 삭막한 콘크리트 식당 옥상으로 변해 버린 사대 앞은 잔디가 깔렸던 활터 정자의 멋스러운 운치마저 허물어버렸다. 600여년에 이르는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고풍스런 분위기는 겉모습만으로는 서양정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사무실, 휴게실, 궁방 등으로 칸막이 없이 사용하고 있는 내부도 마찬가지다. 1994년 화재로 그동안 전해오던 각종 유물이 모두 소실돼 기록물 없는 구전 활터로 전락했다. 그나마 서양정의 역사가 기록된 <서양정(瑞陽亭記)> 내용은 훗날 표구된 액자 형태로 복원돼 한쪽 벽면을 차지하고 있다.

액자로 복원해 보관하고 있는 <서양정기>. [사진=한정곤 기자]

“무릇 본 군의 건치와 연혁을 볼진대 백제조에는 임리아(仍利阿)라 칭하고 신라조에는 여미(汝湄)로 고쳤고 일운(一云)·여빈(汝濱)이라 했으며 고려조에는 화순으로 고치고 본조에는 여러 차례 개혁해 문이 번거롭고 기록하기 어려우니 대개 본 읍은 서석산 기슭에 기조(起祖)해 나한산(羅漢山)에 이르러 그쳤고 미맥이 높이 일어나 언덕을 이뤘으니 오늘날 남산(南山)이라 칭하고 옛적에는 산산(蒜山)이라 칭하고 일명은 화산(花山)이라 했으니 옛사람이 형(形)을 취해 이름을 칭함인가.

이는 산등을 좌로 하고 서석을 짊어졌으며 다시 삼천(三川)을 띠여 오성(烏城)은 동쪽에 웅거하고 불선치(佛仙峙)는 남쪽에 있으며 종괘(鍾掛)는 서쪽에 있고 나한(羅漢)은 북쪽에 있으며 성숙(星宿)은 진(軫)에 있어 성곽이 완고하고 토질이 비옥하니 백성은 태평해 하늘이 영구(靈區)를 주셨음에 일향(一鄕)의 다사(多士)들은 문학을 배우고 무예를 익혔으니 이를 제외하고 둘도 없는 곳이다.

그러나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러 막연히 사(射)를 익힐 정자가 없어 무(武)를 연습한 다사(多士)들이 풍우(風雨)를 피할 수 없음이 천추(千秋)에 유한이었고 또한 겸해 사문(斯文)은 뜻이 있어도 이루지 못하고 뜻이 없어서 나아가지 못해 빈터로 세월이 많이 흘렀다.

그러나 궁술(弓術)의 전래(傳來)가 오래됐으니 어찌 허탄하리오. 하우씨(夏禹氏)의 손자 태강(太康)의 조정에 유궁후예씨(有窮后羿氏)는 정신(精神)이 일도(一到)하면 금석(金石)을 가투(可透)하는 설(說)이 있었고 손빈(孫賓)은 궁노마릉(弓弩馬陵)을 써서 위나라 군사를 크게 일으켰고 공자(孔子)는 주나라 무고에 들어가 문인에게 가르치면서 이는 숙신씨(肅愼氏)의 활이라 하였는데 오직 우리 동방을 동이(東夷)의 나라라 칭하였으니 궁(弓)으로 칭하는 뜻인데 이(夷)란 것은 대궁(大弓)이라 숙신(肅愼)은 단군(檀君)의 속국이요 부여의 요족(瑤族)이라.

장준호(82세) 고문(왼쪽)과 노고길 접장이 이른 아침 습사하고 있다. [사진=한정곤 기자]

동국(東國)의 궁술(弓術)이 이같이 소명(昭明)하거늘 오직 우리 화순은 위에 기록한 바와 같이 중원(中元) 무신년간(戊申年間)으로부터 의연모금으로 겨우 두어칸을 얽었음을 규모가 협착해 습사(習士)들이 몸을 용납할 수 없음으로 현 갑인춘하(甲寅春夏)에 이 정자를 중수할 제 화란(畵欄)과 주각(朱閣)을 불일간에 이루었으니 현 군수와 유지 다사(多士)들의 진심진력(盡心盡力)함이 아니겠느냐.

또한 궁술(弓術)은 주(周)나라 조정에서 예(禮)를 짓고 풍악을 지음으로부터 사법(射法)으로서 덕을 세우고 공을 이루는 도를 삼아 부부(夫婦) 군신(君臣) 부자(父子)의 기강을 바로 밝히고 상하(上下) 상벌(相伐)한 폭화(暴禍)의 단서(端緖)를 엄금하니 사도(斯道)는 큼이로다.

정(亭)을 서양(瑞陽)으로 이름한 것은 본 군의 간명(間名)이 일운(一云)·오성(烏城)·산양(山陽)·서양(瑞陽)이니 원래는 서석산(瑞石山)의 뜻을 취함인가. 일후(日後)에 오직 우리 다사(多士)들은 한결같이 예기(禮記)에 대사의(大射義)의 법을 따라 연마하여 공(工)을 짓고 쾌활히 힘을 얻어 기운이 상쾌하고 마음이 맑아서 문득 연년(延年)을 얻을 것이요 국민의 보건상 특수한 일기(一技)라 이룬 것이 또한 마땅치 아니하리야.” (호남기록문화유산 번역문)

◇ 화순의 옛 이름…사라진 남용 김용구 현판
1974년 9월 1일 작성된 중수기(重修記)로 화순의 유래와 지형적 특징을 시작으로 정자 없이 노천에서 활쏘기를 했던 서러움이 읽혀진다. 이어 중국 여러 나라의 고사를 통해 활쏘기의 의미를 되짚고 이를 계승하고자 한다는 내용과 함께 서양정이라는 정명(亭名)의 유래까지 언급하고 있다.

끝부분에는 ‘연일(延日) 정연승(鄭然承) 삼가 지음’이라고 글쓴이가 기록돼 있지만 화순의 한학자였다는 것 외에 생몰(生沒) 연대는 물론 서양정 사원이었는지 여부도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이름 앞의 ‘연일’이 본관을 뜻하는지 호(號)를 뜻하는지, 아니면 본관을 호로 사용한 것인지도 불분명하다. <계속>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